728x90
반응형

IoE (Internet of Everything)

정의

  • IoE(Internet of Everything): 사물, 데이터, 사람, 프로세스를 연결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구성 요소

  1. Things (사물):
    • 센서가 탑재된 다양한 디바이스
    • 예시: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2. Data (데이터):
    • 센서와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된 정보
    • 예시: 온도, 습도, 위치 정보, 사용 패턴 등
  3. People (사람):
    • IoE 환경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사람
    • 예시: 사용자, 관리자, 서비스 제공자 등
  4. Process (프로세스):
    •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 예시: 데이터 수집, 전송, 저장, 분석, 서비스 제공 등

특징

  • 센싱 정보 수집:
    • 센서가 탑재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의미 있는 센싱 정보들이 지속적으로 수집
  • 유무선 네트워크:
    •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정보 송/수신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
  •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
  • 지능형 서비스 제공:
    • 자동화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 향상

IoE의 장점

  •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빠른 의사결정 지원
  • 효율성 향상:
    •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
  • 사용자 경험 개선:
    • 개인화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 향상
  •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
    • IoE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회를 창출

IoE(Internet of Everything)는 사물, 데이터, 사람, 프로세스를 연결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센서가 탑재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집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동화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 QoS)

정의

  •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QoS):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성능을 측정하고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와 기술

주요 지표

  1. 대역폭 (Bandwidth):
    •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용량
    • 높은 대역폭은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게 함
  2. 지연 (Latency):
    •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 낮은 지연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예: 화상 회의, 온라인 게임)에서 중요
  3. 지터 (Jitter):
    • 데이터 패킷 간의 지연 시간 변동
    • 지터가 크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
  4. 패킷 손실 (Packet Loss):
    • 전송 중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는 현상
    • 패킷 손실이 많으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재전송이 필요하게 됨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향상 방법

  1. 대역폭 관리:
    •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최적화
  2. 지연 최소화:
    • 네트워크 경로 최적화, 고속 라우터 및 스위치 사용 등을 통해 지연을 최소화
  3. 지터 감소:
    • 버퍼링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 간의 지연 시간 변동을 줄임
  4. 패킷 손실 방지:
    • 네트워크 안정성 향상, 오류 검출 및 수정 기술 사용 등을 통해 패킷 손실을 방지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QoS)은 대역폭,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등의 주요 지표를 통해 측정되고 보장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역폭 관리, 지연 최소화, 지터 감소, 패킷 손실 방지 등의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E (Internet of Everything)  (3) 2024.11.21
다이버시티 (Diversity)  (0) 2024.11.20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1) 2024.11.17
M2M (Machine to Machine)  (0) 2024.11.17
IoT (Internet of Things)  (0) 2024.11.17
728x90
반응형

다이버시티 (Diversity)

정의

  • 다이버시티(Diversity): 무선 통신에서 전송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신호 경로를 사용하는 기술. 다이버시티는 무선 전파 환경에서 발생하는 페이딩(fading) 현상, 즉 수신 신호의 불규칙한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신뢰성과 통신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다이버시티는 시간, 주파수, 공간, 편파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영역에서 전송 신호의 복제본을 다르게 전송하여 페이딩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목적

  • 전송 신뢰성:
    • 무선 전파 환경에서 수신 전계의 불규칙한 변동과 같은 페이딩 발생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함

원리

  • 2단계:
    1. 전송 신호 복제본 생성:
      • 시간, 주파수, 공간 영역에서 전송 신호의 복제본을 다르게 생성
    2. 신호 합성:
      • 수신된 신호 복제본을 합성하여 페이딩 영향을 최소화

종류

  1. 공간 다이버시티:
    • 안테나 이격:
      • 서로 다른 위치에 안테나를 배치하여 신호를 수신
      • 예시: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일정 거리 이상 떨어뜨려 배치하여 수신 신호의 상관성을 줄임
  2. 주파수 다이버시티:
    •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
      •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
      • 예시: 동일한 신호를 여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페이딩 영향을 줄임
  3. 시간 다이버시티:
    • 시간차를 두고 전송:
      • 서로 다른 시간에 신호를 전송하여 페이딩 영향을 줄임
      • 예시: 동일한 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여러 번 전송하여 일시적인 페이딩 영향을 줄임
  4. 편파 다이버시티:
    • 수평, 수직 편파 사용:
      • 서로 다른 편파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
      • 예시: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를 동시에 사용하여 편파에 따른 페이딩 영향을 줄임

다이버시티의 장점

  • 신뢰성 향상:
    •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임
  • 페이딩 영향 감소:
    • 여러 신호를 합성하여 페이딩에 의한 신호 손실을 줄임
  • 통신 품질 향상:
    • 안정적인 신호 수신을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다이버시티는 무선 전파 환경에서 전송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술입니다. 공간, 주파수, 시간, 편파 다이버시티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페이딩 영향을 줄이고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의 품질을 높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정의

  •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분리하여 범용 서버에서 가상화하는 기술

개요

  • 네트워크 장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분리:

    • 네트워크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에서 분리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가상화
    • 범용 서버에서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화하여 가상 노드를 구축 및 운영
  • 통신망:

    •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와 여러 기능을 분리하여 소프트웨어로 제어 및 관리
    •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

주요 구성 요소

  1. 데이터 평면 (Data Plane):

    • 실제 데이터 패킷의 전송 및 처리를 담당
    • 네트워크 트래픽의 흐름을 관리
    • 예시: 패킷 포워딩, 라우팅, 필터링 등
  2. 제어 평면 (Control Plane):

    • 네트워크의 제어 및 관리 기능을 담당
    •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 및 제어
    • 예시: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정책 설정, 트래픽 엔지니어링 등

특징

  1. 호환성:

    • 기존 인프라 장비의 데이터 평면 및 제어 평면 기능 적용 가능
    •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의 호환성 보장
  2. 유연성/확장성:

    • CPU, 메모리 등의 추가 자원 할당 가능
    • 네트워크 기능의 동적 배포 및 확장 가능

장점

  1. TCO 절감:

    • 고가의 전용 네트워크 장비 대신 일반 범용 서버 장비 사용으로 총 소유 비용 절감
    • 하드웨어 비용 절감 및 운영 비용 감소
  2. 전력 소비량 감소:

    • 장비 집약을 통해 전력 소비량 감소
    • 에너지 효율성 향상
  3. 새로운 통신 서비스 제공:

    • 사용자 환경과 유형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빠른 서비스 출시 및 유연한 서비스 제공 가능

주요 기술 요소

  1. 가상 네트워크 기능 (VNF, Virtual Network Function):

    •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한 것
    • 예시: 가상 라우터, 가상 방화벽, 가상 로드 밸런서 등
  2. NFV 인프라스트럭처 (NFVI, NFV Infrastructure):

    • VNF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 범용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포함
  3. NFV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MANO,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 VNF와 NFVI를 관리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하는 시스템
    • 네트워크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밴더 현황

  1. 화웨이:

    •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주력
    • SoftCOM 컨셉 제시
  2. 에릭슨:

    • SDN과 NFV를 통해 수평 분리
    • '네트워크 슬라이스' 개념 도입
  3. 알카텔루슨트:

    • 코어망 네트워크 가상화 주력
    • NFV 주력, CloudBand 프로젝트 진행
  4. 삼성전자:

    • NFV 기반 LTE 코어 장비 개발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는 네트워크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분리하여 범용 서버에서 가상화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가상화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NFV는 호환성, 유연성, 확장성 등의 특징을 가지며, TCO 절감, 전력 소비량 감소, 새로운 통신 서비스 제공 등의 장점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술 요소로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NFV 인프라스트럭처(NFVI), NFV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O)이 있으며, 화웨이, 에릭슨, 알카텔루슨트, 삼성전자 등 주요 밴더들이 NFV 기술을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 QoS)  (0) 2024.11.21
다이버시티 (Diversity)  (0) 2024.11.20
M2M (Machine to Machine)  (0) 2024.11.17
IoT (Internet of Things)  (0) 2024.11.17
SS7 (Signaling System No. 7)  (0) 2024.11.17
728x90
반응형

M2M (Machine to Machine)

정의

  • M2M(Machine to Machine): 사물 간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고, 이를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술

발전 과정

  • RFID: 사물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인식
  • USN: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로 전송
  • M2M: 사물 간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고 자율적으로 동작
  • IoT: 사물, 데이터, 사람, 프로세스를 연결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

특징

  1. 사물에 통신 역량 부여 (Smart):

    • 사물에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함
  2. 사물에 ID 부여 (IPv6):

    • 사물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 가능
  3. 사물의 능동적 참여 (지능):

    • 사물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동작

구성

  1. 사용자:

    • M2M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
  2. 사물 지능 통신 서비스 플랫폼 (Network):

    • 사물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플랫폼
  3. 지능 사물 (Smart Object):

    • 통신 기능과 지능을 갖춘 사물

장점

  • 자율적 지능 통신:

    • 사물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
  • On-Demand 패러다임 탈피:

    • 필요할 때만 통신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통신 가능
  • 아키텍처의 개방성:

    •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 보장

배경

  1. 이동통신사:

    • M2M 기술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창출
  2. 정책 지원:

    •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M2M 기술 도입 촉진
  3. 도입 기업: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M2M 기술 도입을 통해 효율성 향상
  4. 기술 환경:

    • 통신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인프라 확충

M2M(Machine to Machine)은 사물 간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고, 이를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술입니다. 사물에 통신 역량을 부여하고, 고유 ID를 부여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 가능하게 하며, 사물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동작할 수 있게 합니다. 이동통신사, 정책 지원, 도입 기업, 기술 환경 등의 배경을 통해 M2M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버시티 (Diversity)  (0) 2024.11.20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1) 2024.11.17
IoT (Internet of Things)  (0) 2024.11.17
SS7 (Signaling System No. 7)  (0) 2024.11.17
SSP (Service Switching Point)  (0) 2024.11.17
728x90
반응형

IoT (Internet of Things)

정의

  • IoT(Internet of Things): 인간과 사물, 서비스가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구성 요소

  1. 사람:

    • IoT 환경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주체
  2. 사물:

    • 센서가 탑재된 다양한 디바이스
    • 예시: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3. 서비스:

    • IoT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 예시: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서비스 등

기술 요소

  1. 전지 및 에너지:

    • IoT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및 에너지 관리 기술
  2. 식별:

    • 사물의 고유 식별을 위한 기술
    • 예시: RFID, QR 코드 등
  3. 구조:

    • IoT 시스템의 구조 설계 및 구현 기술
  4. 통신:

    • IoT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 예시: Wi-Fi, Bluetooth, Zigbee 등
  5. 네트워크:

    • IoT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6. 하드웨어:

    •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구성 요소
  7. 소프트웨어:

    • IoT 디바이스의 운영 및 관리 소프트웨어
  8. 보안 기술:

    • IoT 시스템의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기술

3대 기술

  1. 센싱 기술:

    • 다양한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2.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IoT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3.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IoT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IoT(Internet of Things)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가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입니다. 전지 및 에너지, 식별, 구조, 통신,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 요소를 포함하며,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의 3대 기술을 통해 IoT 환경을 구현합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1) 2024.11.17
M2M (Machine to Machine)  (0) 2024.11.17
SS7 (Signaling System No. 7)  (0) 2024.11.17
SSP (Service Switching Point)  (0) 2024.11.17
다중화 (Multiplexing)  (0) 2024.11.17
728x90
반응형

SS7 (Signaling System No. 7)

정의

  • SS7(Signaling System No. 7): 과거 국간신호방식인 채널결합신호방식(R2)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나의 신호 채널로 다수 회선에 대한 신호(시그널링)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시스템

배경

  • 채널결합신호방식(R2):
    • 과거 사용되던 국간신호방식
    • 각 통화 채널마다 별도의 신호 채널을 사용
    • 비효율적이고 통신 비용이 높음

SS7의 장점

  1. 통신망 관리 기능 강화:

    • 하나의 신호 채널로 다수 회선에 대한 신호 교환 가능
    • 통신망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
  2. 통신 비용 감소:

    • 별도의 신호 채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비용 절감
  3. 효율적 서비스 제공:

    • 빠르고 효율적인 신호 교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예시: 전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번호 이동성 등

주요 기능

  1. 신호 교환:

    • 하나의 신호 채널로 다수 회선에 대한 신호 교환
    • 통화 설정, 유지, 해제 등의 기능 수행
  2. 통신망 관리:

    • 통신망의 상태 모니터링 및 관리
    •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 지원
  3. 서비스 제공:

    •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
    • 예시: 발신자 번호 표시, 착신 전환, 통화 대기 등

SS7은 과거의 채널결합신호방식(R2)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나의 신호 채널로 다수 회선에 대한 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통신망 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통신 비용을 감소시키며,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S7은 통신망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 빠르고 효율적인 신호 교환,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M2M (Machine to Machine)  (0) 2024.11.17
IoT (Internet of Things)  (0) 2024.11.17
SSP (Service Switching Point)  (0) 2024.11.17
다중화 (Multiplexing)  (0) 2024.11.17
네트워크 관리효율성 기술  (0) 2024.11.17
728x90
반응형

SSP (Service Switching Point)

정의

  • SSP(서비스 교환기): 신호망/지능망에서 지능망 진입로 기능을 담당하는 특수한 형태의 교환기로서, 통화 회선의 시작과 끝을 제어하는 호처리 역할을 수행

역할

  1. 호 분석:

    • 기존 전화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 호를 분석
    • 지능망 서비스인지 판단
  2. 호 제어 정보 요청:

    • 호 제어 정보를 SCP에 요청
  3. 응답 제어 정보 이용:

    • SCP로부터 받은 응답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호 서비스를 제공

주요 구성 요소

  1. SCP (Service Control Point):

    • 부가 서비스와 지능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
  2. STP (Signal Transfer Point):

    • SSP와 SCP 사이에서 신호 메시지 라우팅
    • Mesh 토폴로지로 구성
  3. SSP (Service Switching Point):

    • 호 접속 및 해제 처리
    • 단국 교환기 역할 수행

SSP는 신호망/지능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 교환기로, 통화 회선의 시작과 끝을 제어하는 호처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기존 전화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 호를 분석하고, 지능망 서비스인지 판단하여 호 제어 정보를 SCP에 요청합니다. SCP로부터 받은 응답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SSP는 SCP와 STP와 함께 작동하여 부가 서비스와 지능망 서비스를 지원하고, 신호 메시지를 라우팅합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Internet of Things)  (0) 2024.11.17
SS7 (Signaling System No. 7)  (0) 2024.11.17
다중화 (Multiplexing)  (0) 2024.11.17
네트워크 관리효율성 기술  (0) 2024.11.17
네트워크 효율적 사용기술  (0) 2024.11.17
728x90
반응형

다중화 (Multiplexing)

정의

  • 다중화(Multiplexing): 전송로 하나에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중복시켜 고속 신호 하나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

특징

  • 1 link, n channels:
    •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다중화 방식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채널로 나누어 각 채널에 데이터를 전송
    •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간섭을 방지
  2. 시간 분할 다중화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간 슬롯을 여러 개의 채널로 나누어 각 채널에 데이터를 전송
    •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사용하여 간섭을 방지
  3. 파장 분할 다중화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광섬유를 통해 여러 개의 파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 각 채널은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여 간섭을 방지
  4. 코드 분할 다중화 (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 각 채널에 고유한 코드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
    •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간섭을 방지

다중화의 장점

  • 효율적인 자원 사용:

    •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채널로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 고속 데이터 전송:

    •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고속 신호 하나로 만들어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
  • 간섭 방지:

    • 주파수, 시간, 파장, 코드를 사용하여 각 채널 간의 간섭을 방지

다중화는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중복시켜 고속 신호 하나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간 분할 다중화(TDM), 파장 분할 다중화(WDM), 코드 분할 다중화(CDM) 등의 방식이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 사용, 고속 데이터 전송, 간섭 방지 등의 장점을 제공합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7 (Signaling System No. 7)  (0) 2024.11.17
SSP (Service Switching Point)  (0) 2024.11.17
네트워크 관리효율성 기술  (0) 2024.11.17
네트워크 효율적 사용기술  (0) 2024.11.17
주파수 효율적 사용기술  (0) 2024.11.17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관리효율성 기술

정의

  • 관리효율성 기술: 네트워크와 기지국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

기지국 최적화 기술

  1. SON (Self-Organizing Network):

    •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최적화하는 기술
  2. 셀간 과부하 제어:

    • 셀 간의 트래픽 부하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
  3. 셀간 간섭 제어:

    •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통신 품질을 향상
  4. 셀간 용량 및 커버리지 최적화:

    • 셀의 용량과 커버리지를 최적화하여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
  5. 핸드오버 파라미터 최적화:

    •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여 끊김 없는 통신 제공
  6.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 최적화:

    •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여 접속 성공률 향상
  7. 기지국 장비의 소요 에너지 감소:

    • 기지국 장비의 에너지 소비를 줄여 운영 비용 절감
  8. 방송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최적화:

    •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최적화
  9. QoS 관련 무선 파라미터 최적화:

    • QoS(Quality of Service) 관련 파라미터를 최적화하여 서비스 품질 보장
  10. Beamforming:

    •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하여 전송 효율을 높임
  11. Massive MIMO:

    •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극대화
  12. Carrier Aggregation:

    • 여러 주파수 대역을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증가
  13. Dynamic Spectrum Access:

    • 실시간으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사용

무선자원 관리 기술

  1. 무선 접근 제어 기법:

    • 무선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접근 제어 기법
  2. 핸드오프 자원 관리 기법:

    •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자원 관리를 최적화하여 끊김 없는 통신 제공
  3. Cognitive Radio:

    • 인지 무선 기술
    • 주파수 사용 패턴을 인식하여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할당
  4. Network Slicing:

    •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가상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
  5. Edge Computing:

    • 엣지 컴퓨팅 기술
    • 데이터 처리를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서 수행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임

주파수 선택 기술

  1. SDR (Software-Defined Radio):

    • 소프트웨어로 주파수 범위, 변조 방식, 무선 출력 등 주요 무선 특성을 업데이트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모뎀 기술
  2.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 채널 상태에 따라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경
  3.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오류 검출 및 정정을 통해 데이터 전송 신뢰성 향상
  4. Power Control:

    •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통신 품질을 최적화

기타 기술

  1. Relay:

    • 중계 기술
    • 중계 노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여 통신 범위 확장
  2. Multi-hop Relay:

    • 다중 홉 중계 기술
    • 여러 중계 노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여 통신 범위와 신뢰성 향상
  3. Mesh Networking:

    •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
    • 경로 다양성을 통해 신뢰성과 효율성 향상
  4. Ad-hoc Networking:

    • 중앙 관리자가 없는 자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 이동성과 유연성 제공
  5. Link Adaptation:

    • 채널 상태 변화에 따라 전송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기술

기지국 최적화 기술과 무선자원 관리 기술, 주파수 선택 기술은 네트워크와 기지국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ON, 셀간 과부하 제어, 셀간 간섭 제어, 셀간 용량 및 커버리지 최적화, 핸드오버 파라미터 최적화,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 최적화, 기지국 장비의 소요 에너지 감소, 방송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최적화, QoS 관련 무선 파라미터 최적화 등의 기지국 최적화 기술과 무선 접근 제어 기법, 핸드오프 자원 관리 기법, Cognitive Radio, Network Slicing, Edge Computing 등의 무선자원 관리 기술, SDR, AMC, H-ARQ, Power Control 등의 주파수 선택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N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P (Service Switching Point)  (0) 2024.11.17
다중화 (Multiplexing)  (0) 2024.11.17
네트워크 효율적 사용기술  (0) 2024.11.17
주파수 효율적 사용기술  (0) 2024.11.17
무선통신 - WCDMA  (0) 2024.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