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 포렌식(Computer Forensic): 디지털 증거 수집과 분석의 과학

1. 컴퓨터 포렌식의 개념

  • 정의: 컴퓨터 포렌식은 디지털 기기에서 법적 증거를 식별, 보존, 수집, 분석, 문서화하는 과학적 방법론.
  • 목적: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증거를 확보하고 분석하여 사이버 범죄 해결에 기여.
  • 적용 분야: 해킹 사고, 기업 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사기, 개인정보 도용 등 다양한 사이버 범죄 조사.
  • 기본 원칙: 원본 데이터 보존, 증거 변형 방지, 증거 수집 과정 문서화, 증거 연결성(Chain of Custody) 유지.

2. 컴퓨터 포렌식의 절차

2.1 증거 식별 및 수집

  • 증거 식별: 디지털 증거가 존재할 수 있는 장치와 저장 매체 식별.
  • 디지털 증거 유형:
    • 휘발성 데이터: RAM, 캐시,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
    • 비휘발성 데이터: 하드 디스크, SSD, USB, 클라우드 저장소 등
  • 증거 수집 과정:
    1. 현장 도착 시 상황 기록 (사진, 비디오, 메모)
    2. 실행 중인 시스템의 휘발성 데이터 수집
    3. 전원 공급 상태 확인 및 적절한 전원 차단 방법 선택
    4. 하드웨어 봉인 및 이송
flowchart TD
    A[현장 도착] --> B[상황 기록]
    B --> C[휘발성 데이터 수집]
    C --> D{시스템 실행 중?}
    D -- Yes --> E[적절한 방법으로 종료]
    D -- No --> F[저장 매체 분리]
    E --> F
    F --> G[증거 봉인 및 이송]
    G --> H[증거 보관]

2.2 이미징(Imaging)

  • 정의: 원본 저장 매체의 비트 단위 복제본 생성 과정.
  • 방법:
    • 물리적 이미징: 저장 매체의 모든 섹터를 그대로 복제
    • 논리적 이미징: 특정 파일이나 폴더만 선택적으로 복제
  • 해시 값 생성: MD5, SHA-1, SHA-256 등의 알고리즘으로 원본과 복제본의 무결성 검증.
  • 사례: 2020년 N사 기술 유출 사건에서 퇴사한 직원의 PC 이미징을 통해 삭제된 기술 문서 복구.

2.3 증거 보존

  • 원본 증거 보호: 정전기 방지 봉투, 충격 방지 케이스 사용.
  • 환경 통제: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 자기장 노출 방지.
  • 접근 통제: 허가된 인원만 접근 가능하도록 물리적/논리적 통제 실시.
  • 증거 연결성 유지: 모든 증거 접근, 이동, 분석 기록 문서화.

2.4 분석

  • 데이터 복구: 삭제된 파일, 포맷된 디스크의 데이터 복구.
  • 파일 시스템 분석: 파일 생성/수정/접근 시간, 파일 시스템 메타데이터 분석.
  • 로그 분석: 시스템 로그, 이벤트 로그, 애플리케이션 로그 조사.
  • 네트워크 포렌식: 네트워크 트래픽, 패킷 캡처 데이터, 이메일 통신 분석.
  • 메모리 포렌식: RAM 내용 분석을 통한 실행 중이던 프로세스, 네트워크 연결, 암호화 키 등 식별.
  • 악성코드 분석: 정적/동적 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행위 파악.
graph LR
    A[디지털 증거] --> B[데이터 복구]
    A --> C[파일 시스템 분석]
    A --> D[로그 분석]
    A --> E[네트워크 포렌식]
    A --> F[메모리 포렌식]
    A --> G[악성코드 분석]
    B & C & D & E & F & G --> H[분석 보고서]

2.5 보고서 작성

  • 포렌식 보고서 구성:
    • 조사 개요 및 목적
    • 증거 수집 및 보존 방법
    • 사용된 도구 및 기술
    • 발견 사항 및 분석 결과
    • 결론 및 전문가 의견
  • 법정 증언 준비: 기술적 내용을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

3. 컴퓨터 포렌식 도구

3.1 하드웨어 도구

  • 쓰기 방지 장치(Write Blocker): 원본 데이터 변경 방지.
  • 하드웨어 복제기: 고속 디스크 이미징 장비.
  • 휴대용 포렌식 워크스테이션: 현장 조사용 특수 장비.
  • JTAG/ISP 장비: 모바일 기기 데이터 추출 장비.

3.2 소프트웨어 도구

  • EnCase: 종합 디지털 포렌식 플랫폼, 법정 증거 채택률 높음.
  • FTK(Forensic Toolkit): 고급 데이터 검색 및 분석 기능 제공.
  • Autopsy/The Sleuth Kit: 오픈소스 디지털 포렌식 플랫폼.
  • Volatility: 메모리 포렌식 전문 도구.
  • Wireshark: 네트워크 패킷 분석 도구.
  • X-Ways Forensics: 고성능 디스크 이미징 및 분석 도구.

4. 모바일 포렌식

4.1 모바일 포렌식의 특징

  • 다양한 OS 및 하드웨어: iOS, Android 등 다양한 플랫폼 대응 필요.
  • 보안 메커니즘: 암호화, 잠금 화면, 보안 칩 등 다양한 보안 기술로 인한 접근 제한.
  • 클라우드 연동: 로컬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계 분석 필요.
  • 빠른 변화: 새로운 기기, OS 버전에 따른 지속적인 기술 개발 필요.

4.2 모바일 포렌식 방법

  • 물리적 추출: JTAG, 칩-오프 방식으로 직접 메모리 칩에서 데이터 추출.
  • 논리적 추출: 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파일 시스템 접근.
  • 파일 시스템 추출: 파일 시스템 수준의 데이터 추출.
  • 클라우드 포렌식: 클라우드에 저장된 백업, 사진, 메시지 등 분석.

5. 클라우드 포렌식

5.1 클라우드 포렌식의 도전 과제

  • 데이터 위치: 여러 지역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로 인한 관할권 문제.
  • 휘발성: 가상화 환경에서 증거의 빠른 소멸 가능성.
  • 멀티테넌시: 여러 사용자가 동일 인프라 사용으로 인한 데이터 분리 어려움.
  • 서비스 모델 차이: IaaS, PaaS, SaaS에 따른 접근 방법 차이.

5.2 클라우드 포렌식 접근 방법

  • 클라이언트 측 포렌식: 클라우드 서비스 접속 기기 분석.
  • 서버 측 포렌식: 클라우드 제공업체 협조를 통한 서버 로그 분석.
  • 네트워크 포렌식: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통신 데이터 분석.
  • API 기반 증거 수집: 클라우드 서비스 API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6. 안티 포렌식과 대응

6.1 안티 포렌식 기술

  • 데이터 은닉: 스테가노그래피, 대체 데이터 스트림 활용.
  • 데이터 삭제: 보안 삭제 도구, 물리적 매체 파괴.
  • 데이터 암호화: 전체 디스크 암호화, 파일 수준 암호화.
  • 타임스탬프 조작: 파일 시간 정보 변경.
  • 로그 조작/삭제: 활동 흔적 제거.

6.2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 고급 복구 기술: 특수 알고리즘을 통한 삭제 데이터 복원.
  • 메모리 포렌식: RAM에 남은 암호화 키, 임시 데이터 활용.
  • 타임라인 분석: 시스템 전체 이벤트의 시간적 연관성 분석.
  • 아티팩트 상관관계 분석: 여러 증거 소스의 연결 관계 분석.

7. 법적 고려사항

7.1 증거 수집의 적법성

  • 영장 요건: 적절한 법적 권한에 기반한 증거 수집.
  • 프라이버시 보호: 조사 범위 외 개인정보 보호.
  • 증거 연결성: 증거 수집에서 법정 제출까지 무결성 유지.
  • 사례: 2018년 국내 A기업 해킹 사건에서 영장 없이 수집한 로그 데이터의 증거능력 부정.

7.2 국제적 법적 이슈

  • 관할권 문제: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 범죄 조사의 복잡성.
  • 데이터 주권: 국가별 상이한 데이터 보호법 준수 필요.
  • 국제 협력: MLAT(상호법률지원조약) 등을 통한 증거 수집 협력.

8. 실제 적용 사례

8.1 기업 내부 정보 유출 조사

  • 상황: 핵심 기술 정보가 경쟁사에 유출된 정황 발견.
  • 접근 방법:
    1. 의심 직원 워크스테이션 이미징
    2. 이메일, 메신저, 클라우드 스토리지 접근 기록 분석
    3. USB 장치 연결 기록 및 파일 전송 로그 조사
    4. 삭제된 파일 복구 및 분석
  • 결과: 퇴사 예정 직원의 USB를 통한 기밀 문서 무단 반출 증거 확보.

8.2 랜섬웨어 침해 사고 분석

  • 상황: 기업 전산망 랜섬웨어 감염으로 시스템 마비.
  • 접근 방법:
    1. 최초 감염 경로 파악을 위한 이메일 서버 로그 분석
    2. 악성코드 샘플 추출 및 행위 분석
    3. 네트워크 로그를 통한 공격자 C&C 서버 식별
    4. 감염 확산 경로 추적
  • 결과: 피싱 이메일을 통한 초기 침투, 내부 네트워크 횡적 이동 방식 확인, 유사 공격 예방책 수립.
flowchart TB
    A[랜섬웨어 공격 발생] --> B[초기 대응: 시스템 격리]
    B --> C[휘발성 데이터 수집]
    C --> D[악성코드 샘플 확보]
    D --> E[악성코드 분석]
    E --> F[침해 경로 식별]
    F --> G[공격자 추적]
    F --> H[피해 시스템 복구]
    E & G --> I[보안 대책 수립]

9. 최신 동향 및 미래 전망

9.1 IoT 포렌식

  • 증가하는 IoT 기기: 스마트홈, 웨어러블, 산업용 IoT 기기의 증거 가치 증가.
  • 제한된 인터페이스: 표준화되지 않은 접근 방식으로 인한 증거 수집 어려움.
  • 다양한 프로토콜: Zigbee, Z-Wave, MQTT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분석 필요.
  • 새로운 도구 개발: IoT 기기 메모리 덤프, 펌웨어 분석 도구 등장.

9.2 AI와 빅데이터 활용

  • 자동화된 분석: 기계학습을 통한 대량 데이터에서 관련 증거 추출.
  • 행위 패턴 분석: 사용자 행동 패턴 식별 및 이상 행위 탐지.
  • 예측 분석: 과거 사례 기반 범죄 행위 예측 모델 개발.
  • 도전 과제: AI 결정의 설명 가능성과 법정 증거로서의 수용성.

9.3 암호화 관련 과제

  • 전체 디스크 암호화: 증가하는 암호화 사용으로 인한 접근 제한.
  • 양자 컴퓨팅: 기존 암호화 방식 해독 가능성과 새로운 포렌식 기회.
  • 법적 논쟁: 암호화 해제 강제에 대한 법적, 윤리적 논쟁 지속.

10. 결론

  • 컴퓨터 포렌식은 디지털 증거의 과학적 수집과 분석을 통해 사이버 범죄 해결에 기여하는 핵심 분야.
  • 기술 발전에 따라 포렌식 기법도 지속적으로 진화 중이며, 클라우드, IoT, AI 등 새로운 기술 영역으로 확장.
  • 법적, 윤리적 고려사항과 함께 기술적 도전 과제를 해결하며 발전하는 분야.
  • 정보보호 전문가에게 컴퓨터 포렌식 지식은 사고 대응과 조사에 필수적인 역량.
  • 국내외 관련 법제도 이해와 함께 지속적인 기술 습득이 필요한 전문 영역.

Keywords

Computer Forensic, Digital Evidence, Chain of Custody, Anti-Forensic, Imaging, 디지털 증거, 증거 수집, 포렌식 도구, 메모리 포렌식, 클라우드 포렌식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