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위협의 이해와 대응

지능형 지속 위협(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은 특수 목적을 가진 조직이 특정 대상을 선정하여 지능적이고 지속적으로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는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입니다. 일반적인 사이버 공격과 달리 APT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은밀하게 진행되며, 국가 기관이나 기업의 중요 정보를 탈취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의 및 개념

  •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란 특수 목적을 가진 조직이 표적을 선정하고 지능적이고 지속적으로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는 행위.

  • 기존의 무차별적인 사이버 공격과 달리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장기간에 걸쳐 은밀하게 진행되는 특성.

  • 특징: 명확한 Target 선정, 우회 공격 기법 활용, 지능화된 접근 방식, 지속적인 공격 수행

  • 목적: 기밀 정보 탈취, 주요 시스템 장악, 국가 안보 위협, 산업 스파이 활동 등

  • 주체: 국가 지원 해커 그룹, 범죄 조직, 산업 스파이 집단 등

주요 특징

1. 표적화된 공격

  • 무작위 공격이 아닌 특정 조직이나 시스템을 대상으로 함
  • 공격 대상에 대한 철저한 사전 조사와 분석 수행

2. 지속성

  • 일회성이 아닌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공격 수행
  • 시스템 내 장기 잠복하며 지속적인 정보 수집 및 유출

3. 고도화된 기법

  • 제로데이 취약점 등 알려지지 않은 보안 취약점 활용
  • 사회공학적 기법과 기술적 공격 방법의 복합적 사용

4. 은밀성

  •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다양한 우회 기법 활용
  • 기존 보안 솔루션의 탐지를 피하는 지능형 활동 수행

APT 공격 과정

graph TD
    A[1 침투 단계] --> B[2 검색 단계]
    B --> C[3 수집 단계]
    C --> D[4 제어 단계]

    subgraph "침투(Infiltration)"
    A1[관찰 및 정찰] --> A2[사회공학적 공격]
    A2 --> A3[제로데이 취약점 활용]
    end

    subgraph "검색(Exploration)"
    B1[다중 벡터 활용] --> B2[은밀한 내부 활동]
    B2 --> B3[시스템 연구 및 분석]
    end

    subgraph "수집(Collection)"
    C1[권한 상승] --> C2[데이터 수집]
    C2 --> C3[지속적 은닉]
    end

    subgraph "제어(Control)"
    D1[데이터 유출] --> D2[시스템 장악]
    D2 --> D3[목적 달성 및 유지]
    end

APT 공격은 침투, 검색, 수집, 제어의 4단계로 진행됩니다. 초기 침투 후 내부 시스템을 탐색하고, 권한을 상승시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최종적으로 목표 시스템을 제어하는 체계적인 과정을 거칩니다.

감염 절차 (Drive by Download)

  1. 앱 혹은 OS 취약점을 공격하는 익스플로잇 제작
  2. C&C(Command & Control) 서버 구축 및 연결 설정
  3. 실제 사용자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홈페이지 방문
  4. 사용자 모르게 악성코드 자동 다운로드 및 설치
  5. 내부 네트워크로 감염 확산
  6. 중요 데이터 탈취 및 유출

대응 방안

1. APT 전용 분석 기술

  • APT 인텔리전스를 결합한 전용 가상머신 분석 기술 도입
  • 서버나 단말에서 특화 제작된 전용 가상머신을 통해 의심스러운 행위 분석
  • 알려지지 않은 위협에 대한 행위 기반 탐지 강화

2. 샌드박스 기반 솔루션

  • 범용 가상머신 솔루션을 이용한 애드온 형태의 솔루션 구축
  • 분석 시스템과 샌드박스를 결합한 구성으로 의심스러운 파일 실행 및 분석
  • 네트워크 트래픽 및 시스템 변경사항 모니터링

3. 다계층 방어 전략(Defense-in-Depth)

  • 지연 및 교란을 목적으로 여러 계층에서 다양한 보안 솔루션 설치
  • 단일 보안 방어선이 뚫렸을 때도 추가 방어선으로 공격 차단
  • 백화점식 접근 방식의 실효성 문제와 동일 벤더 종속으로 인한 시너지 저하 고려

기대 효과 및 필요성

기대 효과

  • 고도화된 지능형 위협으로부터 중요 자산 보호
  • 조기 탐지를 통한 피해 최소화 및 대응 시간 확보
  • 보안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복구 체계 확립

필요성

  • 국가 및 기업의 핵심 기밀 보호를 위한 필수 요소
  •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지능형 위협 증가
  • 보안 위협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른 대응 체계 혁신 요구

마무리

지능형 지속 위협(APT)은 전통적인 보안 솔루션만으로는 방어하기 어려운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입니다. 표적화된 공격 특성과 지속성, 그리고 은밀성을 갖춘 APT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계층 방어 전략과 함께 전용 분석 기술, 샌드박스 기반 솔루션 등 통합적인 보안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특히 조직의 보안 인식 향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빠른 대응 체계 구축이 APT로부터 중요 자산을 보호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Keywords

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위협, Zero-day Vulnerability, 제로데이 취약점, Command & Control Server, Drive by Download, Defense-in-Depth, 다계층 방어, Sandbox Analysis, 샌드박스 분석, 사회공학적 공격, Lateral Movement, 내부 확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