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DoS (Distri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 서버 리플렉션을 활용한 공격 기법
DRDoS(Distri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는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Agent로 활용하여 타겟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고도화된 공격 기법입니다. 기존 DDoS 공격과 달리 공격자는 자신의 IP를 위조(Spoofing)하고 제3의 서버를 이용해 반사 공격을 수행함으로써 공격 근원지를 감추고 더 큰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러한 DRDoS(Distri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 기법은 네트워크 보안 영역에서 중요한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정의 및 개념
DRDoS: 공격자가 위조된 출발지 IP 주소(스푸핑)로 다수의 리플렉션 서버에 요청을 보내 응답이 특정 타겟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공격 기법.
리플렉션 서버(Reflection Server):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립적 서버가 비자발적으로 공격에 이용되어 Agent 역할을 수행하는 중간 매개체.
특징: TCP 3-way 핸드셰이크 취약점 활용, BGP 라우팅 테이블 정보 취약점 악용, 증폭 효과로 인한 대규모 트래픽 발생
목적: 타겟 시스템의 가용성 저하, 서비스 중단 유도, 공격 근원지 은폐
작동원리: IP 스푸핑을 통한 소스 IP 위조, 리플렉션 서버의 응답 활용, 증폭된 트래픽으로 타겟 시스템 과부하
주요 특징
1. 공격 증폭 효과
소량의 초기 트래픽으로 대량의 응답 트래픽을 유발하여 공격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DNS, NTP, SSDP 등의 프로토콜은 요청 대비 수십 배에서 수백 배의 응답 크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공격 근원지 은폐
공격자는 IP 스푸핑을 통해 자신의 실제 IP를 숨기고, 리플렉션 서버를 경유하여 공격함으로써 추적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공격자 식별과 차단이 기술적으로 복잡해집니다.
3. 프로토콜 취약점 활용
TCP의 3-way 핸드셰이크 과정의 취약점과 BGP(Border Gateway Protocol)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을 수행합니다. SYN Flooding과 Smurfing 기법을 결합한 고도화된 공격 방식입니다.
4. 다양한 리플렉션 서버 활용
Traceroute 명령어를 통해 다수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 목록을 획득하고, 이를 리플렉션 서버로 활용하여 공격 규모를 확장합니다.
공격 메커니즘
sequenceDiagram
participant A as 공격자
participant R as 리플렉션 서버
participant T as 타겟 시스템
A->>R: 1. 위조된 출발지 IP(타겟 IP)로 요청 전송
Note over A,R: 다수의 리플렉션 서버에 동시 요청
R->>T: 2. 요청에 대한 응답 전송
Note over R,T: 증폭된 응답 트래픽 집중
T->>T: 3. 대량의 트래픽으로 인한 자원 고갈
Note over T: 서비스 장애 발생
DRDoS 공격은 공격자가 위조된 IP(타겟의 IP)로 다수의 리플렉션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이 서버들이 모두 타겟에게 응답함으로써 증폭된 트래픽이 타겟에 집중되어 서비스 장애를 유발합니다.
취약 프로토콜 및 포트
프로토콜 | 포트 | 증폭 비율 | 활용 방식 |
---|---|---|---|
DNS | 53 | 최대 54배 | 도메인 조회 요청 응답 활용 |
NTP | 123 | 최대 556배 | 시간 동기화 요청 응답 활용 |
SSDP | 1900 | 최대 30배 | 서비스 검색 프로토콜 응답 활용 |
CharGEN | 19 | 최대 358배 | 문자 생성 서비스 응답 활용 |
Memcached | 11211 | 최대 51,000배 | 메모리 캐싱 시스템 응답 활용 |
대응 방안
1. 네트워크 레벨 대응
- 클라이언트 포트 및 서버 포트 선별적 차단
- ISP와 NAP를 통한 최종 사용자 보호
- BGP Flowspec을 활용한 트래픽 필터링
2. 서버 레벨 대응
- 임의의 시간 동안 연결 실패된 요청에 대한 자동 차단
- 비정상적 패킷 패턴 감지 및 차단
- 서버 리소스 할당 제한 및 우선순위 설정
3. 운영 레벨 대응
- ISP 업체와 협력하여 공격 근원지 IP 주소 추적 및 차단
- 트래픽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이상 징후 조기 감지
- RTBH(Remotely Triggered Black Hole) 라우팅 활용
공격 사례
사례 1: 금융기관 공격
2013년 이후 주요 금융기관들이 DRDoS 공격의 타겟이 되었으며, NTP 프로토콜을 활용한 리플렉션 공격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공격으로 온라인 뱅킹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고, 금융 거래 처리에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사례 2: DNS 서비스 공격
2016년 DNS 서비스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DRDoS 공격으로 인해 많은 웹사이트와 온라인 서비스가 접속 불가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 공격은 IoT 기기들을 봇넷으로 활용하여 DNS 리플렉션 공격을 수행하였습니다.
사례 3: Memcached 프로토콜 활용 공격
2018년 Memcached 프로토콜을 악용한 DRDoS 공격이 발생하여 당시 역대 최대 규모인 1.7Tbps의 트래픽을 발생시켰습니다. 이 사례는 적절히 보안되지 않은 Memcached 서버의 위험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대응 쳬계 구축 기대 효과 및 필요성
보안 강화 효과
DRDoS 공격에 대한 이해와 대응 체계 구축은 전반적인 네트워크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유형의 DoS 공격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합니다.
서비스 안정성 확보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을 통해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기업 이미지 및 신뢰성 보호에 기여합니다.
비용 절감
공격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은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과 복구 비용을 발생시키므로, 효과적인 대응 체계 구축은 장기적 관점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마무리
DRDoS는 기존 DDoS 공격보다 더욱 강력하고 탐지하기 어려운 공격 방식으로,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한 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서버, 운영 측면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취약한 리플렉션 서버들의 보안 강화가 중요합니다. 기업과 기관들은 DRDoS 공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안 태세를 강화해야 합니다.
Keywords
Distri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 리플렉션 서버, IP 스푸핑, 증폭 공격, Amplification Attack, 3-way 핸드셰이크 취약점, BGP 취약점, 트래픽 필터링, DNS Reflection, Memcached Amplification
'IT Professional Engineering > SE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lk DoS: 지속적 URL 변경을 통한 웹서버 부하 공격 메커니즘 (0) | 2025.05.06 |
---|---|
SR DDoS(Slow Rate DDoS): 저속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이해와 대응 (0) | 2025.05.06 |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이해와 대응전략 (0) | 2025.05.06 |
모바일 안티포렌식: 디지털 세계의 정보 보호술 (0) | 2025.05.06 |
안티 포렌식(Anti Forensic): 디지털 증거 은닉 및 보호 기술의 이해 (0) | 2025.05.06 |